우주 은하417 중국의 달 뒷면 샘플 암석 토양 채취 성공 ILRS 인류 최초로 달 뒷면의 토양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돌아왔습니다. 중국의 창어 6호는 달에 착륙하여 53일 간 임무를 마치고 지구에 복귀했습니다. 달 표면은 지금까지 10여 차례 채취한 바 있지만 달 뒷면 샘플을 채취한 건 인류 최초의 탐사 성과입니다. 우주 굴기에 힘쓰고 있는 중국은 ILRS 프로젝트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ㅁ 목차1. 창어 6호 귀환2. 중국의 우주 굴기3. 중국의 ILRS 프로젝트4. 미국의 아르테미스 1. 창어 6호 귀환창어 6호는 달 뒷면에 있는 너비 2,500㎞의 충돌 지형인 남극의 에이킨 분지에 있는 아폴로 분화구 내부에 착륙했습니다. 드릴과 장비를 사용하여 약 2㎏의 토양 물질을 수집하였고 이 귀중한 화물은 달 궤도로 발사되어 며칠 후 궤도선에서 회수하였습니다. 창어 6호가 .. 2024. 6. 28. 스타라이너 우주선 귀환 연기 헬륨 누출이 문제 보잉 미국의 보잉에서 제작한 유인 우주선 스타라이너의 지구 귀환이 연기되고 있습니다. 스타라이너는 발사 과정에서 헬륨의 누출 문제가 있었으며, ISS에 도킹된 상태에서도 이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 두 명의 우주비행사는 국제우주정거장 ISS에서 20일째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ㅁ 목차1. 헬륨의 누출이 위험한 이유2. 스타라이너 귀환 연기3. 스타라이너 임무 수행4. 보잉의 스타라이너 1. 헬륨의 누출이 위험한 이유헬륨은 우주선의 다양한 시스템에서 압력 유지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연료 탱크나 기타 압력 시스템에서 헬륨은 액체 연료를 밀어내는 데 사용됩니다. 헬륨이 누출되면 시스템의 압력이 떨어져 기능상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우주선의 정상 작동과 승무원의 안전에 중요.. 2024. 6. 26. 인도 최초의 3D 프린팅 로켓 엔진 아그니쿨(Agnikul) 인도의 우주 스타트업 아그니쿨 코스모스(Agnikul Cosmos)는 인도 최초의 3D 프린팅 로켓 엔진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로켓 제작과 관련된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국가의 우주 비행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로켓 발사에 성공한 인도는 2050년에는 달 기지를 건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ㅁ 목차1. 아그니쿨 코스모스2. 인도의 우주개발 전략3. 인도의 우주 개발 계획 ※ 인도의 우주탐사 위성 * 인도의 태양 관측 위성 인도 유인 달 탐사 계획 발표 찬드라얀최근 무인 탐사선 찬드라얀 3호를 달 남극에 착륙시켜 기술력을 과시했던 인도가 이번에는 유인 달착륙을 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며, 유인 달탐사 경쟁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입니다.bb.. 2024. 6. 22. 달 먼지 에너지로 전환 테르밋 반응 thermit, EDS 달 개발에 골칫거리였던 먼지를 에너지로 만드는 테르밋(thermit)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월면토를 현지에서 가공하여 달에 거주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직접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주인의 달 거주를 위해서는 달 표면에서 이동 중 발생하는 먼지를 최소화해야 하는데 최근 NASA에서는 우주비행사와 각종 장비가 달 먼지에 손상을 입지 않는 기술을 개발하기도 하였습니다. ㅁ 목차1. 달 먼지를 에너지로 전환2. 테르밋 반응3. 달 먼지의 위험성4. 달 먼지 해결 기술 1. 달 먼지를 에너지로 전환월면토에 있는 먼지는 금속과 산소가 포함되어 있어 대기 중에 산소가 없어도 먼지를 이용하여 열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테르밋 반응이라 하는데, 이 기술을 응용하면.. 2024. 6. 20. K2-18b 하이션 행성 생명체 가능성 DMS 디메틸설파이드 행성 전체가 바다로 덮여있고 DMS(디메틸설파이드) 물질의 존재 가능성이 높은 K2-18b 행성은(하이션 행성) 태양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유형의 행성입니다. 이러한 행성 관측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의 뛰어난 성능 덕분에 가능했습니다.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8배 이상 뛰어난 관측 정확도로 하이션 행성의 특징을 감지한 것입니다. K2-18b 행성의 환경과 생명체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ㅁ 목차1. K2-18b 행성2. 하이션 행성(Hycean planet) 3. K2-18b 생명체 가능성4. K2-18b 또 다른 가능성 1. K2-18b 행성K2-18b는 2015년 나사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처음 발견했으며 이후 허블 우주망원경의 관측을 통해 대기에 물이 있고 행성 표면에 액체 물을 유.. 2024. 6. 18. 떠돌이 행성(Rogue planet) 발견 TESS 망원경 자유롭게 떠다니는 행성(FFP) 로먼 망원경 떠돌이 행성이라 불리는 FFP 행성을 TESS 망원경이 발견하였습니다. 이론상으로는 은하계에 매우 많은 FFP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발견이 쉽지 않아 현재까지 발견된 FFP는 3개에 불과합니다. 자유롭게 떠다니는 행성은 어떻게 발견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ㅁ 목차1. 떠돌이 FFP 행성2. TESS 망원경3. FFP 행성을 찾으려는 이유4. 마이크로 중력 렌즈 효과5. 낸시 그레이스 로먼 망원경 1. 떠돌이 FFP 행성 떠돌이 행성은 일반적인 행성과 비슷한 질량과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특정 항성 주위를 공전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우주 공간을 움직이는 천체를 말합니다. 항성의 중력에 구속받지 않고 우주를 여행하는 떠돌이 행성의 기원은 대부분 이들이 형성되는 동안 또는 나중에 중력의 상호 작용으로 모항성계.. 2024. 6. 16. 우주복 액시엄 스페이스 제작 아르테미스 착용 HLS NASA는 아르테미스 미션에서 우주비행사가 착용할 우주복을 공개했습니다. 액시엄 스페이스가 제작한 우주복은 아폴로 이후 반세기만의 새로운 우주복입니다. 달에 착륙할 우주비행사들은 우주복을 착용하고 여러 시스템(HLS)을 점검하였습니다.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 아르테미스 미션* 우주 왕복선 오리온 우주선 우주 왕복선의 탄생과 폭발 오리온 우주선우주왕복선은 지구 대기를 들어가는 것과 다시 우주 공간으로 나가는 것을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왕복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우주 왕복선의 탄생과 폭발 사고 그리bbaggomi.co.kr* 아르테미스에 참여한 나라 확인 NASA 아르테미스 달탐사 장비와 일정 참여국스타십 우주선의 안전성 확보와 우주복 제작 일정이 지연되면서 아르테미스 2,.. 2024. 6. 14. 스타십 4차 로켓 발사 성공 스페이스 X 오리온 우주선 스페이스 X의 스타십이 네 번째 발사만에 지구 궤도를 약 70분가량 돌아 성공적으로 귀환하였습니다. 추진 로켓 슈퍼헤비도 처음으로 착륙에 성공하며 테스트의 주요 목표를 모두 달성했습니다. 아르테미스를 통해 인류를 달에 보낸 후 화성으로 나아가기 위한 계획에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 스페이스 X의 발사 이력 스페이스 X 팰컨 9 로켓 발사 성공 최근 동향ㅁ 팰컨 9 로켓 발사 17번째 성공 스페이스 X가 로켓 재활용 신기록을 세웠습니다. 스페이스 X 팰컨 9 로켓은 2023년 9월 19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돼 스타링크 위성bbaggomi.co.kr* 2차 발사 실패 최강 로켓 스타십 2차 시험발사 스페이스X미국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 X가 오는 1.. 2024. 6. 10. 보잉(Boeing) 스타라이너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 보잉(Boeing)의 스타라이너 유인우주선이 무사히 발사되었습니다. 스타라이너는 우주비행사 두 명을 태우고 발사에 성공하며 지구 궤도에 안착했습니다. 비행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한 후 8일간 머물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계획입니다. 여러 우주 기업들이 우주선 발사에 성공하며 우주 산업의 경쟁도 본격화되는 모습입니다. ※ 다양한 우주기업* 스페이스 X 일론머스크 일론 머스크 전기차(테슬라), 우주 산업의 선구자일론 머스크(Elon Musk)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기업가, 엔지니어, 기술과학자로, 현재는 미국 시트릭스포에서 다양한 기술 기업들을 이끌고 있는 혁신적인 기업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기bbaggomi.co.kr* 아마존 블루오리진 아마존 카이퍼 프로젝트 위성 발사.. 2024. 6. 8.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