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항공우주국(NASA) 주도로 시작된 아르테미스 계획이 진행되면서 53년 만에 다시 유인 달 탐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계획에는 미국과 영국, 일본, 프랑스 등 현재 모두 28개 국가가 '아르테미스 약정'에 서명하면서 동참하고 있는데, 한국도 2021년 10번째 참여국으로 서명했습니다.
2025년에는 최초로 여성과 유색인종 우주비행사가 착륙선을 타고 달 표면에 착륙할 계획입니다.
ㅁ CLPS 프로젝트
CLPS 프로젝트란 내년 발사되는 무인 달 착륙선으로 천연자원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25년에 발사될 유인 착륙을 돕기 위해 준비되는 아르테미스 하위 프로젝트입니다.
ㅁ 한국에서 개발하는 탐사장비 4종
1. 달 표면 우주환경 모니터(LUSEM, 루셈)
2. 달 표면 자기장 측정기
3. 달 표토 3차원 영상카메라
4. 달 표면 우주방사선 측정기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ㅁ 탐사장비 제작
LUSEM은 천문연구원과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함께 개발하고, 국내 업체인 쎄트렉아이가 제작하였습니다.
이 탐사장비는 내년 발사되는 무인 달 착륙선에 탑재되어 여러 과학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ㅁ LUSEM의 주요임무
달은 지구와 달리 대기와 자기장 등의 보호가 없어 심우주로부터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가 직접 검출됩니다. 이런 고에너지 입자는 우주인의 건강이나 우주선 기능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영향 분석이 필요합니다. 추가로 대기가 없는 천체의 풍화 작용을 파악하는데도 활용될 예정입니다.
미 우주항공국은 앞으로 유인 우주 탐사 등을 위해선 고에너지 입자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고에너지 입자를 검출할 LUSEM을 달 착륙선에 실어 보낼 계획입니다.
LUSEM은 미국의 달 착륙선 노바-C에 탑재된 뒤, 내년 말 우주기업 스페이스 X의 발사체 팰컨 9를 통해 달의 라이너 감마 지역으로 발사될 예정입니다.
라이너 감마 착륙지에서 수행할 탐사 임무가 향후 아르테미스 유인 달탐사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초석이 되면 좋겠습니다.
참고자료 :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 암흑 물질의 비밀을 찾아서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은 유럽 우주국(ESA)이 개발한 라그랑주 점 L2 임무용 우주 망원경입니다. 2023년 7월 1일 오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 X 팰컨 9 로켓에
bbaggomi.co.kr
참고자료 : 인도 무인 달 탐사선
인도 무인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 달착륙 성공
ㅁ 인도 달 탐사선 착륙 성공 인도 무인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는 2023년 8월 14일에 지구에서 발사가 되었으며, 8월 23일 저녁 6시에 달에 성공적으로 착륙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인도는 미국과 러
bbaggomi.co.kr
참고자료 : 지구와 달 거리
지구와 달 거리 3.8cm 씩 멀어지는 이유 달이 없다면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천문학적인 현상과 중력 상호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아래에서는 달과 지구의 거리 변화에 대한 주요 원인을
bbaggomi.co.kr
'우주 은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달 탐사선 슬림(SLIM) 발사 성공 (8) | 2023.09.07 |
---|---|
테티스 토성 위성 오디세우스 크레이터 (6) | 2023.09.06 |
토성 위성 이아페투스 Iapetus 태양계 위성 (2) | 2023.09.05 |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 암흑 물질의 비밀을 찾아서 (8) | 2023.09.04 |
인도 무인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 달착륙 성공 (6)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