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르테미스29

설명~ 중국 달기지 계획에 참여국 7곳으로 늘어 ILRS 프로젝트 중국의 달 기지 건설 계획인 ‘국제 달 과학연구기지(ILRS)’에 파키스탄과 벨라루스 두 국가가 합류했습니다. ILRS는 미국의 유인 달 탐사계획인 ‘아르테미스’에 대응하는 프로젝트로 러시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벌써 7개 국가를 모집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 구도는 달기지 건설에서도 가속화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 목차 1. ILRS 프로젝트 (International Lunar Research Station) 2. ILRS 협력국  3. ILRSCO 조직    중국이 주도하는 달 기지 프로젝트 ILRS* 중국은 ILRS로 무엇을 얻으려 하는 걸까요? 중국 주도 프로젝트 ILRS  International Lunar Research Station (ILRS) Guide for Partnershi.. 2023. 10. 28.
설명~ 인도 유인 달 탐사 계획 발표 찬드라얀 최근 무인 탐사선 찬드라얀 3호를 달 남극에 착륙시켜 기술력을 과시했던 인도가 이번에는 유인 달착륙을 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며, 유인 달탐사 경쟁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입니다. ※ 목차 1. 인도 유인 달 탐사 계획 ※ 인류 최초 달 남극에 간 찬드라얀 3호 2. 유인 탐사 주도국 3. 우리나라 우주산업 4. 달 탐사 아르테미스 1. 인도 유인 달 탐사 계획 인도 정부는 최근 2040년까지 달에 우주 비행사를 보내고, 앞으로 10년 안에 우주정거장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위해 인도는 무인 로켓을 발사해 성능과 안전성을 시험한 뒤 2025년에 우주비행사 3명을 우주에 보낼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 인류최초 달 남극에 간 찬드라얀 3호 * 찬드라얀 3호가 착륙한 지점과 환경은 어떠할까? 달.. 2023. 10. 25.
설명~ 한국 아르테미스 달 프로젝트 2년째 지지부진 NASA가 주도하는 아르테미스 계획은 전 세계 29개국이 약정에 서명하고 참여하는 프로젝트로, 한국도 2021년에 서명하면서 10번째 참여국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한국은 미국을 포함한 유럽 인도 등 주요 국가들의 치열한 달 패권 경쟁과는 상반된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NASA 아르테미스 공식홈 https://www.nasa.gov/wp-content/uploads/static/artemis/NASA: Artemis https://www.nasa.gov/wp-content/uploads/static/artemis/Artemis is the name of NASA's program to return astronauts to the lunar surface. We are going forwa.. 2023. 10. 9.
설명~ 인류의 미래기술 핵추진 로켓 DRACO 프로젝트 NASA와 DARPA가 진행 중인 원자력로켓 엔진개발 프로젝트 DRAC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ASA는 세계최고의 우주 기관들이 모여 2027년까지 핵추진 로켓을 개발하고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목차 1. 핵추진 로켓이란 2. 핵추진 로켓의 장점 3. 핵추진 로켓의 보완점 NASA가 알려주는 핵추진 로켓이 궁금하면 Click NASA 핵추진 프로젝트 Click 1. 핵추진 로켓이란 핵추진 로켓은 산화제와 추진체를 연소시켜 하늘을 나는 기존의 로켓과 달리 원자로의 핵반응을 통해 얻은 열로 수소가스를 팽창시켜 추진력을 얻는 방식입니다. 현재 운영 중인 핵잠수함이나 원자력 발전소도 동일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얻고 있습니다. 2. 핵추진 로켓의 장점 핵추진 로켓은 추진력이 훨씬 강하기 때문에 기존의.. 2023. 10. 4.
설명~ 오리온 유인 우주선 구조 및 아르테미스 Artemis 오리온 다목적 우주선은 NASA에서 오래되고 문제가 많은 우주왕복선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중인 유인 우주선입니다. 협력사인 Lockheed Martin이 개발을 주도하였으며, 아르테미스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되는 오리온 우주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우주선 제작 이슈 2. 오리온 우주선 구조 및 시스템 2.1 승무원 모듈 2.2 서비스 모듈 2.3 발사중단 시스템 3. 우주선 재사용 * NASA가 말하는 오리온 우주선이 궁금하면 Click 오리온 우주선 Click ▷ 1. 우주선 제작 이슈 오리온 우주선은 인간을 달로 다시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의 핵심 구성 요소로, 4명의 승무원이 탑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향후 진행될 유인 탐사에 사용될 수 있는 심우주 탐사 능력을 갖추고 .. 2023. 9. 27.
설명~ 스페이스 X 팰컨 9 로켓 발사 성공 최근 동향 ㅁ 팰컨 9 로켓 발사 17번째 성공 스페이스 X가 로켓 재활용 신기록을 세웠습니다. 스페이스 X 팰컨 9 로켓은 2023년 9월 19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돼 스타링크 위성 22기를 우주 저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번 임무에 사용된 1단계 추진체는 그동안 16번의 비행을 완료하고 이번에 17번째로 사용되면서 재활용 신기록을 세웠습니다. ㅁ 스페이스 X 흑자 전환 지난 2년 동안 지속적으로 적자를 냈던 스페이스 X는 최근 NASA와 국제우주정거장을 오가는 우주비행사를 실어 나르는 수단으로 스페이스 X를 이용하기로 합의하면서 흑자전환을 하게 되었습니다. ㅁ 스타링크 구축모습 보러 가기 또, 스타링크는 가입자만 약 150만 명을 확보해 놓은 상태로, 가격을 약 10%.. 2023. 9. 22.
설명~ 달 착륙지 섀클턴 충돌구 다누리호 촬영 아르테미스 계획 NASA가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달 남극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공개했습니다. 이 지역은 유인 달 탐사 임무 ‘아르테미스 3호’가 향하게 될 달 남극의 예상 착륙지 섀클턴 충돌구의 모습입니다. ㅁ 섀클턴 충돌구(크레이터) 섀클턴 충돌구는 달 남극의 거대한 분지 내에 자리 잡고 있으며 지름은 21km, 깊이는 무려 4.2km나 됩니다. 섀클턴 안쪽은 달의 자전축이 수직으로 서 있기 때문에 햇빛이 전혀 닿지 않는 영구 음영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량의 얼음이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 다른 달착륙 후보지로 달 북극의 피어리 충돌구와 달 남극의 마라페트 충돌구가 고려되고 있습니다. 새도우캠(ShadowCam) 본 사진은 음영지역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한국 다누리호의 섀도우캠으로 촬영한 사.. 2023. 9. 21.
설명~ 우주 왕복선의 탄생과 폭발 오리온 우주선 우주왕복선은 지구 대기를 들어가는 것과 다시 우주 공간으로 나가는 것을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왕복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우주 왕복선의 탄생과 폭발 사고 그리고 새롭게 진행되는 오리온 우주선까지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우주 왕복선이란 2. 우주왕복선 탄생과 우주비행 ㅁ 우주왕복선 종류 3. 우주왕복선의 장점 3.1 다중 재사용 3.2 대형 운송 능력 4. 우주왕복선의 문제점 4.1 고가의 운영비 4.2 폭발 사고 ㅁ오리온 우주선 1. 우주 왕복선이란 NASA의 우주왕복선 또는 스페이스 셔틀은 우주와 지구를 반복해서 왕복하도록 설계된 우주선이며, 1980년대부터 사용되어 2011년에 사용이 중단되었습니다. 보통 5~7명의 우주인과 22,700 kg 정도의 .. 2023. 9. 19.
설명~ 스타십 달 유인탐사선 엔진 가동 성공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역대 최대 규모의 우주선 스타십이 랩터 엔진의 극한 시동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이 시험은 달 기지의 발사와 착륙 환경을 그대로 모사하였으며, 달의 혹독한 저온과 진공 상황을 재현한 상황에서 스타십 렙터 엔진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습니다. ㅁ스타십 로켓 확대 보기 ㅁ 스타십 프로젝트 영상 보기 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성공하려면 우주의 극한 환경에서도 정상적인 엔진 시동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우주선 스펙 스타십은 미국의 스페이스 X가 개발 중인 재활용 가능한 우주 발사체로 중량 100톤 이상을 지구 궤도에 발사할 수 있는 초대형 로켓입니다. 스타쉽은 높이 121m, 폭 9m로 역대 최대 규모를 자랑하고 자체 중량은 30만 kg에 달합니다. 이 거대한 몸체를 발사하기 위해서는 슈퍼헤비 부스.. 2023.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