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 은하

성간 천체 아틀라스 꼬리가 자라는 혜성 3I ATLAS

by 가보쟈 2025. 9. 9.

2025년, 전 세계 천문학자들의 관심을 한눈에 사로잡은 성간 천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름은 아틀라스(3I/ATLAS)로, 태양계 밖에서 온 천체입니다. 이 천체는 단순한 소행성이 아니라, 얼음과 먼지가 녹으며 긴 꼬리를 형성하는 혜성과 비슷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ㅁ 목차

1. 아틀라스는 어디에서 왔을까?

2. 크기는 얼마나 클까?

3. 아틀라스, 혹시 외계 우주선일까?

4. 언제, 어디서 볼 수 있을까?

5. 아틀라스가 특별한 이유

※ 함께 읽으면 유익한 정보

 

3I ATLAS 성간 천체 소행성 충돌 경보 시스템에서 발견

우주 과학의 발전에 힘입어 성간 천체인 3I ATLAS가 최근 발견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3I ATLA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I ATLAS3I ATLAS는 2025년 7월 2일 발견된 성간 천체입

bbaggomi.co.kr

 

오우무아무아 외계 성간 천체 구성물질 수소 얼음 아니다

오우무아무아는 인류가 관측한 이례적인 우주 물체입니다. 이 물체는 외계 성간 천체로서, 우리 태양계 내에는 속하지 않으며 외계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독특한 형상을 하

bbaggomi.co.kr

망원경으로 관측한 모습에서는 태양에 가까워질수록 꼬리가 점점 길어지고, 주위를 둘러싼 구름 모양의 가스층인 코마(coma)가 점점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천체가 더욱 흥미로운 이유는 태양계 내에서 태어난 것이 아니라, 먼 우주에서 날아왔다는 점입니다. 이런 천체를 성간 천체(interstellar object)라고 부르는데, 지금까지 인간이 확인한 성간 천체는 ‘오무아무아와 ‘보리소프 두 개뿐이었습니다.

1. 아틀라스는 어디에서 왔을까?

아틀라스는 2025년 7월 1일 ATLAS라는 천체 탐색 프로젝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주로 지구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는 천체를 찾아내는 역할을 합니다. 아틀라스의 궤도를 계산한 결과, 이 천체는 태양의 중력에 묶여 도는 천체가 아니라 매우 길게 늘어진 쌍곡선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아틀라스가 우리 태양계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먼 성간 공간에서 태양계를 스쳐 지나가는 중임을 의미합니다. 태양계는 거대한 중력의 우물과 같아 많은 소행성이나 혜성이 태양 주위를 공전하지만, 성간 천체는 이러한 궤도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아틀라스 역시 태양을 한 번 지나친 뒤에는 다시 태양계 밖으로 떠나며, 아마도 인류의 역사에서 두 번 다시 볼 수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성간 천체 아틀라스의 가상 이미지

2. 크기는 얼마나 클까?

허블 우주망원경과 지상 망원경을 활용한 관측 결과, 아틀라스의 가장 중심부는 지름이 약 3~5km로 추정됩니다. 일반적인 도시 크기와 비교하면 여의도의 길이와 비슷할 수도 있는 정도입니다. 핵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코마는 이보다 훨씬 거대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아틀라스의 코마 직경이 약 34만 km에 달한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 약 38만 km에 맞먹는 크기입니다. 혜성의 꼬리는 태양열로 인해 얼음이 기화되면서 생기는 가스와 먼지의 흐름으로, 때로는 수백만 km에 이르기도 합니다. 아틀라스 역시 태양에 가까워질수록 꼬리가 점점 더 길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아틀라스, 혹시 외계 우주선일까?

아틀라스가 발견된 직후, 일부 과학자와 연구자들은 이것이 외계 문명이 보낸 우주선이 아닐까?라는 흥미로운 가설을 제시했습니다. 아틀라스가 일반 혜성과는 다른 빛 반사 특성, 특이한 궤도 정렬 등을 보인다는 점에서 외계 문명의 탐사체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집된 데이터에 따르면, 아틀라스가 외계 문명의 산물이라는 증거는 없습니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은 이 천체를 자연적으로 형성된 성간 혜성으로 분류했으며, 지구에 위협을 가할 가능성도 없다고 발표했습니다.

4. 언제, 어디서 볼 수 있을까?

아틀라스는 2025년 10월 말쯤 태양에 가장 가까워집니다. 이를 근일점이라고 부릅니다. 근일점에 가까워질수록 태양빛에 의해 더 많은 얼음과 가스가 기화하며, 꼬리가 더 화려하게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10월 초에는 화성 근처를 지나갈 예정입니다. 이때 화성 궤도를 돌고 있는 탐사선과 궤도선들이 아틀라스를 근거리에서 관측할 계획입니다. 이 자료는 아틀라스가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다른 성간 천체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5. 아틀라스가 특별한 이유

이 천체는 태양계 밖에서 만들어진 먼지와 얼음을 직접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지구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혜성은 태양계 내부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것들이지만, 아틀라스와 같은 성간 천체는 태양계가 아닌 다른 별 주위에서 태어난 물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아틀라스가 빛을 반사하는 방식과 꼬리의 성분에서 기존 혜성과 다른 점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는 성간 천체가 태양계 천체와는 다른 환경에서 만들어졌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