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과 달이 만들어내는 천문 현상 중 가장 주목받는 것이 바로 개기일식과 월식입니다. 이 현상들은 특정한 주기를 따라 발생하며, 종류에 따라 관측되는 모습도 다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현상의 종류와 발생 주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1. 개기일식의 종류
개기일식은 달이 태양을 완전히 또는 일부 가리는 현상으로, 종류에 따라 관측 모습이 달라집니다.
1. 개기일식
-.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려 태양의 빛이 차단되는 현상
-. 태양의 코로나만 보이는 극적인 순간이 펼쳐집니다.
2. 부분일식
-. 달이 태양의 일부만 가리는 현상
-. 태양이 초승달처럼 보임
3. 금환일식
-. 달이 태양보다 작아 보일 때, 태양 둘레가 반지처럼 남는 현상
4. 혼합일식
-. 관측 위치에 따라 개기일식과 금환일식이 모두 나타나는 드문 현상
* 일식 예상일
2. 월식의 종류
월식은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위치하면서 달에 그림자가 드리우는 현상입니다.
1. 개기월식
-. 달 전체가 지구의 본그림자에 들어가 붉은빛(‘블러드문’)으로 보임
2. 부분월식
-. 달 일부만 지구의 본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
3. 반음월식
-.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가 어둡게 보이지만 큰 변화는 없는 현상
* 일식 예상일
3. 개기일식과 월식의 주기
• 개기일식 주기: 동일한 지역에서 매번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보통 수십 년에서 수백 년 간격으로 나타남
• 월식 주기: 6개월마다 1~2회 이상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개기일식보다 더 자주 관측 가능
4. 붉은 달(블러드문)이 생기는 이유
1. 지구의 대기 산란 현상
개기월식이 발생하면,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위치하여 달로 가는 태양빛을 가립니다. 그러나 완전히 빛이 차단되는 것은 아닙니다. 태양빛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녹색 계열의 빛은 대기에서 산란되어 사라지고,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은 굴절되어 달까지 도달합니다. 이 때문에 달이 붉게 보입니다.
2. 지구 대기의 상태에 따라 색이 달라짐
화산 폭발, 대기 중 미세먼지, 오염물질 등이 많으면 붉은색이 더 짙어집니다. 반대로 대기가 깨끗하면 붉은빛이 연하고 밝은 주황색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우주 은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PPIST-1 행성의 대기 관측 (1) | 2025.09.01 |
---|---|
ESA의 목성 탐사선 JUICE 소식과 Europa Clipper (0) | 2025.08.30 |
스타십 10차 비행, 우주 탐사의 새 지평을 열다 (5) | 2025.08.28 |
아르테미스 달 탐사 미션, 여성 우주비행사 Christina Koch (2) | 2025.08.24 |
화성에 헬기 항모 스카이폴 프로젝트 (7)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