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에서 방향을 찾는데 요긴하게 사용되는 북극성과 북두칠성은 북반구에서 사계절 내내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입니다. 북극성은 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방향을 잡는데 유용하며, 북두칠성은 큰 곰자리의 일부분으로 하늘에서 선명한 국자 모양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징이 뚜렷한 두 별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ㅁ 목차
1. 북극성 특징(Pole star)
천문관측에 입문하거나 취미를 들이기 위해 처음으로 도전하는 별자리가 북극성입니다. 북극성은 지구의 자전축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다른 별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위치가 바뀌지만, 북극성은 항상 같은 위치에 있어 북쪽 방향을 찾는데 매우 유용합니다.
다중성계
북극성은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아니지만, 충분히 눈에 띌 정도로 밝습니다. 대략 2 등성의 밝기를 가지고 있어 맑은 밤하늘에서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북극성은 단순히 하나의 별이 아니라, 실제로는 여러 개의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입니다. 현재까지 4개의 동반성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가장 밝은 주성(主星)은 태양보다 약 2,500배 더 밝은 초거성입니다.
2. 북극성 위치 찾기
북극성을 찾는 가장 쉬운 방법은 북두칠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북두칠성은 큰 곰자리의 일부분으로, 밤하늘에서 국자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북두칠성을 찾았다면, 국자 모양의 끝에 있는 두 개의 별을 찾은 후 국자 머리 부분의 두 별인 메라크와 두베를 이어서 국자의 윗방향으로 5배 정도 연장하면 북극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북두칠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카시오페이아자리는 하늘에 W 모양으로 배치된 별자리로, 북극성의 반대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W 모양의 가운데 부분에서 북쪽으로 선을 그리면 북극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카시오페이아 별자리 알아보기
3. 북두칠성의 특징
북두칠성은 큰 곰자리의 일부분으로, 하늘에서 국자 모양을 하고 있는 일곱 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북두칠성은 북반구에서 사계절 내내 볼 수 있으며, 위치가 계절에 따라 조금씩 위치가 바뀌지만, 북쪽 하늘에서 언제든지 발견할 수 있습니다.
4. 북두칠성의 위치 찾기
북두칠성은 현대 서양 별자리를 기준으로 하면 북쪽하늘 큰 곰자리의 꼬리 부분입니다. 북두칠성 자체가 독립된 하나의 별자리는 아니며, 일곱 개의 별자리가 모여 국자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북두칠성은 계절에 따라 위치가 조금씩 달라집니다. 봄과 여름에는 북두칠성이 하늘에서 가장 높이 올라가 있어 더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북두칠성의 옆에는 작은 별 알코르가 있으며, 시력이 좋은 사람은 맑은 날에 볼 수 있기 때문에 고대 로마에서는 병사의 시력 테스트에 사용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알코르 위치는 손잡이 끝에서 두 번째 별인 미자르 옆에 붙어있으며, 알코르와 미자르 거리는 약 3만 광년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안드로메다자리
* 목동자리
북두칠성을 이루는 별 리스트
이름 | 영문명 | 거리(광년) |
1. 두베 | Dubhe | 124 |
2. 메라크 | Merak | 79 |
3. 페크다 | Phecda | 84 |
4. 메그레즈 | Megrez | 58 |
5. 알리오스 | Alioth | 81 |
6. 미자르 | Mizar | 78 |
7. 알카이드 | Alkaid | 101 |
두베와 알카이드는 큰 곰자리 성단과 상관없는 존재인데, 그 이유는 이 두 별은 나머지 다섯과는 다른 방향인 우주 공간으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각자 움직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북두칠성의 모양은 약 5만 년 후에 더 이상 우리가 알고 있는 형태가 아닌 새로운 모습으로 변해 있을 것입니다.
'우주 은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라리스 던(Polaris Dawn) 민간인 최초로 최고 고도 우주 유영 (17) | 2024.08.29 |
---|---|
슈퍼블루문은 언제 뜨나요? 특징과 주기 슈퍼문 블루문 (11) | 2024.08.27 |
다이슨 스피어(Dyson Sphere) 무한 에너지 구현 (50) | 2024.08.23 |
스윙바이(Swing-by) 플라이바이(fly-by) 차이점과 탐사선의 속도 증가 (54) | 2024.08.21 |
페르미의 역설 개념(Fermi paradox) 외계 생명체 (60) | 2024.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