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클턴 충돌구2 다누리호 달 동결 궤도에서 관측 후 충돌 다누리호는 한국의 첫 번째 달 궤도 탐사선으로, 최근 달의 동결 궤도에서 관측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누리호의 동결 궤도에서의 관측 이유와 달과의 충돌, 그리고 폐기되는 탐사선의 처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ㅁ 목차1. 다누리호 동결 궤도 관측2. 다누리호 달과 충돌하는 이유3. 폐기되는 탐사선 처리 방법 1. 다누리호 동결 궤도 관측첫째, 동결 궤도는 달의 중력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으로, 이곳에서 탐사선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궤도를 유지할 수 있고 연료가 소모되지 않고도 달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안정성 덕분에 다누리호는 장기간에 걸쳐 달의 표면을 관측하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둘째, 동결 궤도에서는 달의 극지역, 특히 영구음영지역에 대한 관측이 가능해집니다. 이.. 2025. 2. 19. 달 착륙지 섀클턴 충돌구 다누리호 촬영 아르테미스 계획 NASA가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달 남극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공개했습니다. 이 지역은 유인 달 탐사 임무 ‘아르테미스 3호’가 향하게 될 달 남극의 예상 착륙지 섀클턴 충돌구의 모습입니다. ㅁ 섀클턴 충돌구(크레이터) 섀클턴 충돌구는 달 남극의 거대한 분지 내에 자리 잡고 있으며 지름은 21km, 깊이는 무려 4.2km나 됩니다. 섀클턴 안쪽은 달의 자전축이 수직으로 서 있기 때문에 햇빛이 전혀 닿지 않는 영구 음영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량의 얼음이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 다른 달착륙 후보지로 달 북극의 피어리 충돌구와 달 남극의 마라페트 충돌구가 고려되고 있습니다. 새도우캠(ShadowCam) 본 사진은 음영지역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한국 다누리호의 섀도우캠으로 촬영한 사.. 2023. 9. 21. 이전 1 다음